[음성포함] 필리핀 돈(페소), 여행 전 필독! 5가지 꿀정보!

필리핀 돈 _ Various Philippines money

필리핀 여행을 앞두고 꼭 신경써야 하는 것은 바로 ‘필리핀 돈‘에 대한 정보입니다. 필리핀 돈의 공식 명칭은 Piso (피소)이고, 사실 지폐에도 그렇게 적혀있지만, 대외적으로는 Peso (페소)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필리핀 돈의 기호는 ₱로 표시되며 20, 50, 100, 200, 500, 1000 단위의 지폐와 1, 5, 10, 25 센타보 동전, 그리고 1, 5, 10 페소 동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센타보는 그 단위가 낮아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필리핀 돈에 대한 한 문단만 썼는데도, 벌써 꽤 유용한 정보가 많이 있죠? 아래에서는 여러분을 더욱 완벽한 필리핀 돈 박사(?)로 만들어드릴 다양한 상식과 여행에서의 환전 팁, 그리고 필리핀 돈과 관련된 필수 타갈로그어까지 완벽하게 정리해서, 무려 음성파일까지 포함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준비되셨다면, 아래 목차와 함께 글을 확인해 주세요!


필리핀 돈에 대한 기본 정보

일단 ‘Peso (페소)’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남미를 다녀온 적이 있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Peso (페소)’는 아르헨티나, 칠레, 멕시코, 쿠바, 그리고 스페인 등에서 쓰이는 화폐 단위입니다. 그리고 이들 나라와 지역적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는 필리핀에서 ‘Peso (페소)’라는 화폐 단위를 쓰게 된 이유는 필리핀이 1565년부터 약 300여 년 동안 스페인의 식민지였기 때문입니다. 이런 필리핀 돈, ‘Peso (페소)’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1,000페소 지폐에는 미세 광학 기능과, 필리핀 전통 트날락(T’nalak) 직조기술이 적용
  2. 500페소 지폐에는 필리핀 남부의 전통 패턴이 적용
  3. 200페소 지폐에는 홀로그램 소재를 사용한 비사얀 직조기술이 적용
  4. 더 작은 단위의 지폐에도 시각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양각이 새겨짐
  5. 필리핀 페소의 표시는 ₱, PHP, php, PhP 또는 일반 P로 표시되기도 함

참고로 필리핀 돈은 공식적으로 4차의 디자인 개편이 이루어졌는데, 가장 최근 개편은 2010년 12월이었습니다. 그 신권의 경우 기존의 인물 중심에서, 필리핀의 생물과 풍경을 디자인에 적극 도입했고, 또 다양한 위조 방지 장치가 강화되기도 하였습니다. 다만, 출시 직후 500페소 지폐의 이름 오류와 하자 문제로 리콜이 발생했던 아쉬운 기록도 가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2022년에는 현재의 필리핀 대통령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의 서명이 포함된 새로운 신권이 발행되기도 하였습니다.


필리핀 돈, 환전? QR?

최근 필리핀에서도 QR 결제가 활성화되면서 필리핀을 방문하는 우리나라 여행객들도 환전에 대한 번거로움을 조금 덜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QR 결제가 필리핀의 모든 지역에서 다 통하는 것은 아니기에, 여전히 기본적인 필리핀 돈을 준비해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많은 필리핀 상인들은 현금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특히 필리핀 길거리 음식들을 사 먹을 예정이라면, 지폐는 물론 약간의 동전도 꼭 준비해야 안심하고 먹는 거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지에서 환전을 할 예정이라면 공항이나 은행보다는 현지 환전소에서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물론 수수료 없이 ATM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가 있다면 그것도 좋구요. 다만, 종종 필리핀 돈에 익숙치 않은 관광객들을 악용하여 위조 지폐 또는 일부러 잘못된 돈을 주는 경우도 있으니, 이 점 확인해야 합니다.

서론이 너무 길어지면 지루하니까, 이쯤에서 정리하고, 아래에서는 본격적으로 여행 전 확인해야할 5가지 필리핀 돈 꿀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크롤을 아래로 조금만 더 내려 주세요!


필리핀 돈(페소), 여행 전 필독! 5가지 꿀정보!

1. 현금 한도 USD 10,000

가장 추천드리는 방법은 한국에서 출발하기 전에 시중 은행 또는 서울역 환전소를 통해 환전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너무 많은 돈을 가져오는 것은 위험하고, 또 한도에도 맞지 않으므로, 검증된 필리핀 시내에 있는 대형 환전소에서 페소를 준비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필리핀에서는 여행자가 현금, 수표, 예금증서 또는 여행자 수표로 최대 $10,000 미국 달러까지만 휴대할 수 있습니다. 페소의 반출 역시 비슷한 금액인 50,000페소까지만 허용되며, 은행의 승인서 없이 그 이상으로 반출 시에 적발되면 자동으로 돈이 압수되니 이 점 주의 바랍니다


2. 은행 및 ATM에서 돈 인출하기

주요 도시나 관광지를 돌아다닐 계획이라면 근처에 자주 보이는 ATM과 은행에서 필리핀 돈을 즉시 인출할 수 있습니다. 하나 팁을 드리자면, 거래는 돈을 인출할 때는 보안을 위해 은행 근처에 있는 기기에서 거래하는 것이 좋습니다. 행여 카드가 ATM에서 안 나오는 경우에도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거래하는 기계에 따라 최대 거래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ATM은 거래당 10,000페소까지만 인출할 수 있지만, 몇 개의 ATM에서는 그 이상의 금액을 인출할 수도 있습니다.


3. 큰 지폐는 미리 바꿔두기

큰 지폐는 상점에 따라 잔돈을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10~100페소짜리 물건을 구매할 계획이라면 이와 비슷한 금액대의 필리핀 돈을 준비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여행객들이 짤랑거리는 소리와 무게 때문에 동전을 따로 보관하는 것을 싫어하지만, 필리핀 여행 시에는 가능하면 작은 동전 지갑을 준비하는 것이 더 편안할 것입니다.

참고로 필리핀의 명물 지프니나 현지 트라이시클은 대부분의 노선이 10~30페소 정도에 불과하고, 길거리 음식점도 5~20페소 정도면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곳에서 1,000 페소의 돈을 낸다면… 사실 어쩌면 그것만으로 실례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4. 필리핀에서의 팁?

필리핀의 팁 규정은 모호한 편입니다. 공식적으로는 팁이 정해져있지 않지만, 또 많은 서비스 직종에서는 계산대 옆에 팁 박스를 놓고 있습니다. 일명 ‘매너 팁’이라는 부분입니다.

필리핀에서 마사지를 받거나, 투어 가이드에 참여할 때, 아니면 고급 식당에 갔을 때 등 팁을 주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이에 대한 정확한 규정은 없습니다. 다만, 다른 사람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기 위해,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받았다면 필리핀 돈으로 20페소 정도 팁을 주는 것은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5. 혹시 몰라… 여행자 수표?

일반적으로는 여행자 수표는 필리핀 돈으로 환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를 사용하려면 직불 카드로 이체한 후 ATM에서 현지 통화를 사용하여 인출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최근 많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필리핀에서도 여행자 수표보다는 다른 결제 방식이 많이 통용되고 있으니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안전할 것입니다.


필리핀 돈에 대한 필수 타갈로그어 회화

필리핀에서 돈을 쓸때 꼭 알아두어야 할 문장이 있습니다. 물론 영어로도 가능하지만, 잊지 마세요. 모든 필리핀 사람들이 영어를 다 잘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로컬 시장이나 음식점에 가면 더욱 그렇습니다.

타갈로그어한국어영어 발음 (한국어 발음)음성
Magkano ito?이거 얼마예요?/mɑːkˈkɑːnoʊ ˈitoʊ/ (막카노 이토?)
Saan ang ATM?ATM은 어디에 있어요?/sɑːn ɑːŋ ˈeɪtiːɛm/ (사안 앙 ATM?)
Puwede bang magbayad ng credit card?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나요?/ˈpwɛdɛ ˈbaŋ mɑɡˈbaɪəd nɡ ˈkrɛdɪt kɑrd/ (푸웨데 방 마그바얏 응 크레딧 카드?)
Kailangan ko ng pera.돈이 필요해요./kaɪˈlaŋan koʊ nɡ ˈpɛrə/ (카일라간 코 응 페라.)
Mayroon bang change?잔돈이 있나요?/maɪˈrɔn baŋ tʃeɪndʒ/ (마이론 방 체인지?)
Magkano ang exchange rate?환율이 얼마예요?/mɑːkˈkɑːnoʊ ɑːŋ ɪksˈtʃeɪndʒ reɪt/ (막카노 앙 익스체인지 레이트?)
Puwede bang mag-withdraw?인출할 수 있나요?/ˈpwɛdɛ baŋ mɑɡ ˈwɪðdrɔː/ (푸웨데 방 마그 윈드로?)
Anong pera ang gamit dito?여기서 어떤 돈을 사용하나요?/ˈɑːnʊŋ ˈpɛrə ɑːŋ ˈɡɑːmɪt ˈditoʊ/ (아농 페라 앙 가밋 디토?)
Saan ako pwedeng magpalit ng pera?어디에서 돈을 바꿀 수 있나요?/sɑːn ˈɑːkoʊ ˈpwɛdɛŋ mɑɡˈpɑlɪt nɡ ˈpɛrə/ (사안 아코 푸웨딩 마그팔릿 응 페라?)
Kailangan ko ng resibo.영수증이 필요해요./kaɪˈlaŋan koʊ nɡ rɛˈsiboʊ/ (카일라간 코 응 레시보.)


필리핀 돈에 대한 FAQ

1. 필리핀 돈을 쉽게 계산하는 방법?

페소의 종류가 다양하고 환율이 계속 변하는지라 고정된 금액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100 페소 기준 1,200원 정도로 잡고 계산하면 편합니다. 참고로 100 페소는 필리핀에서 간단한 한 끼 식사 또는 3병 내외의 맥주를 살 수 있는 금액입니다.

2. 필리핀에 기념 주화가 있나요?

네, 필리핀에서는 기념 주화가 발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념 주화는 특별한 행사나 역사적인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통화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수집용으로 더 많이 인기가 있습니다. 기념 주화는 다양한 디자인과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필리핀의 문화, 역사, 인물 등을 반영합니다. 주로 중앙은행인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에서 발행하며, 특정 기념일이나 사건에 맞춰 출시됩니다.

3. 필리핀에서 한국 돈을 사용할 수 있나요?

필리핀에서는 한국 돈을 직접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필리핀의 공식 통화는 페소(PHP)이며, 대부분의 상점과 서비스는 페소로만 결제됩니다. 한국 돈을 사용하고 싶다면, 환전소나 은행에서 필리핀 페소로 환전해야 합니다. 일부 대형 호텔이나 관광지에서는 외화를 받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페소가 필요하므로 미리 환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타갈로그어를 배우기 가장 완벽한 타이밍?

타갈로그어 배우기에 가장 완벽한 타이밍은 언제일까요? 저는 이 글을 다 읽은 바로 지금이라고 생각합니다. 필리핀 돈으로 시작해서 타갈로그어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면, 이것이 사그라들기 전에 타갈로그어 기초과정을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타갈로그어를 배우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유용한 책이나 온라인 강의도 물론 좋지만, 최근에는 늘 가지고 다니는 휴대폰으로 타갈로그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그 중에 가장 추천할만한 것은 Ling 앱입니다. 타갈로그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는 물론 이런 문화 상식에 대한 이야기도 업데이트 되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필리핀 돈 외에도 타갈로그어를 공부를 시작하시면… 간단한 타갈로그어로 인사를 하거나, 필리핀 음식을 주문하거나, 놓치면 아쉬울 필리핀 길거리 음식들도 꼼꼼하게 챙겨먹을 수 있고, 필리핀식 사랑표현 또는 필리핀 이름에 대한 글과 함께 필리핀식 이름을 만들 수도 있을 거십니다. 이 외에도 주한 필리핀 대사관 홈페이지에서는 필리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있으니 함께 체크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여러분들의 타갈로그어 학습을 응원하겠습니다. 타갈로그어 관련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관련 글 추천

듀오링고 말고, Ling! 듀오링고 타갈로그어 보다 Ling이 더 좋은 5가지 이유

듀오링고 말고, Ling! 듀오링고 타갈로그어 보다 Ling이 더 좋은 5가지 이유

|
타갈로그어 숫자, 0부터 100만까지 총정리

타갈로그어 숫자, 0부터 100만까지 총정리

|
타갈로그어 기초, 7일 완성 가이드 (음성포함)

타갈로그어 기초, 7일 완성 가이드 (음성포함)

|
[음성첨부] 타갈로그어 욕, 많이 쓰는 7개 단어 정리

[음성첨부] 타갈로그어 욕, 많이 쓰는 7개 단어 정리

|
[음성첨부] 타갈로그어 인사: 현지인이 쓰는 13가지 문장

[음성첨부] 타갈로그어 인사: 현지인이 쓰는 13가지 문장

|
[음성첨부] 타갈로그어 사랑해: 100% 성공하는 필수 표현!

[음성첨부] 타갈로그어 사랑해: 100% 성공하는 필수 표현!

|